본문 바로가기

Blog

SLR카메라 보조배터리 만들기/리튬폴리머/리튬이온/니켈카드늄

* 먼저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에게 각별한?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아시듯 모든 권한과 책임은 당신에게 있습니다)
* 제 실험?은 slr클럽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시작한 것입니다.
* 저도 개발자가 아니라 무엇이라 말하긴 그렇습니다. 다만 기계공학도로서 한가지 확실한 것이 있다면. 얻는 것이 있으면 잃는 것이 있다는 겁니다.
* 개인적인 취미로 하는 것이라 정확한 지식이 없습니다. 혹여 모를 위험을 안고 도전하시지는 마세요 ^^;;
* 이 글은 그동안 적어온 글을 대충 정리를 한 글입니다. 블로그에 보시면 각부분 자세한 과정이 있습니다.


제가 400디를 입양하고 씩씩하게 키우려 하다보니 처음에 답답한 것이 하나 있었습니다. 야간 실내에서 내장스트롭으로 연사를 할때..(전 연사찍고 생각치 못한 웃음 찾는 것을 좋아하는지라...내공제로, 상식제로...입니다)어느정도 찍고 나면 busy라는 문구가 뜨고 한동안 사진 찍을수가 없더군요...처음엔 배터리 용량이 작아 스트롭 충전시간인줄 알고...이 삽질을 시작했드랬습니다.

결과론적으로 캐논코리아 개발자와 연락을 취해보니 ㅠㅠ 내장메모리의 한계라고 하더군요. 실험상 최대 스트롭을 켜든 안켜든 20컷에서 busy가 걸리더군요....(결국 이 모든 삽질의 의미가 없어졌습니다 ㅡㅜ....다만 친구의 부탁?으로 세컨을 작업중이긴 합니다. 에세랄 외 똑딱이류는 배터리를 많이 먹더군요. 혹은 외장 스트롭에 물리거나...하면 아주 유용할듯 합니다)

먼저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캐논의 경우 배터리가 7.4볼트를 사용합니다. 지금 바로 확인해 보시면 아실듯합니다. 그리고 충전기는 8.4볼트 입니다. 배터리가 7.4볼트인데 충전기가 8.4볼트에 의아해 하시겠지만...보통의 배터리는 내압이란게 있습니다. 7.4볼트에서 정상작동을 하는 전자기기가 8.4볼트를 입력하면 회로에 문제가 생기지 않느냐...라고 생각하실 껍니다. 모든 전자기기는 여유폭을 두고 제작이 됩니다. 그래서 카메라의 경우 6.x~8.x볼트까지 작동을 하게 설계가 되어 있다라는 겁니다.

배터리 특성상 7.4볼까지 충전해서 쓰면 얼마 쓰지도 못하고 배터리를 충전해야 하는? 불상사가 생기게 되죠....
아~각설 하겠습니다. 저도 알지도 못하면서 설명하려니 힘드네요... ,ㅡㅜ

사용자 삽입 이미지

순정배터리 내부모습

먼저 순정배터리를 한번 살펴보죠. 리튬이온 2셀과 보호회로가 있네요.
리튬배터리의 특성상 보호회로는 필수 입니다. 아래 사진을 첨부 하겠지만 니켈카드늄과 같은 배터리는 필요가 없지요. 물론 일반적인 알카라인류나 니켈수소 또한 필요성이 없습니다.
 
(여담이지만 리튬배터리의 경우 1셀이 3.7볼트로 제작이 되어집니다. 두개를 직렬하여 8.4볼트를 만들어 내는 것이지요. 저기 보이는 보호회로의 역활은 과충전, 과방전을 막아주는 역활을 합니다. 리튬은 3볼트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배터리 수명이 극히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회로는 3볼트 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막고, 과충전하면 폭발의 위험때문에 과충전을 막아주는 역활도 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충전기 하나 올려 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리튬이온전용충전기 회로도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실체도

본 회로는 8.4볼트용 (6~9볼트까지)충전기 입니다. 위에 설명했듯이 리튬배터리는 전용 충전기를 사용하여야 됩니다.
과충전시 배터리가 폭발할 위험이 있습니다.
(모 배터리 제조사에서 실험결과 폭발 수준은 아니더라도 충분히 위험할 만한 독가스? 분출과 화상위험이 있습니다)
 
그래서 배터리 내압인 8.4볼트 도달시 자동으로 충전을 스탑하는 기능을 내장하였습니다.
(제가 그린게 아니라 외국사람이 그린걸 가져 와서 땜질만 하였습니다)